본문 바로가기

구글

(5)
구글은 왜 모토롤라를 헐값에 팔았나 125억 달러에 인수했던 모토롤라를 29억달러에 레노버에 넘기다니...액수만 보면 무려 96억 달러나 밑지는 장사다. 그런데도 레노버의 CEO 앙위안칭과 악수하고 있는 래리 페이지의 표정은 아주 밝았고, 매각 소식도 발빠르게 전했다. 아무리 돈이 많다고 하지만 100억달러, 무려 10조원 가까운 손해를 본 것에 비춰보면 선뜻 이해하기 어렵다. 모토롤라는 구글에 인수된 이후 피쳐폰 시절의 명성을 회복하기 위해 그동안 축적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Moto G 와 Moto X를 출시했고, 시장에서 꽤 호평을 받아온 터라 더 그렇다. 구글은 모토롤라를 인수한 지 19개월만에 왜 이런 선택을 해야했을까... 구글측의 공식 발표문을 보면 몇가지를 짐작할 수 있다. 1. 스마트폰 시장은 한물갔다? 이제는 웨어러블 & 스..
구글, 모토로라 인수로 애플-삼성-MS의 뒤통수를 치다 구글, 모토로라 특허 17,000건 소유...특허 전쟁 유리한 고지 점령 구글이 휴대전화의 명가 모토로라 모빌리티를 전격 인수했다. 미국의 IT 전문지들에 따르면 아무도 예상하지 못했던 기습적인 발표였다. 인수금액은 125억달러, 우리돈으로 13조원이 넘는다. 애플의 iOS에 대항해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공짜로 배포하면서 애플의 독주를 저지해온 구글이 하드웨어 제조업체까지 인수했다는 소식은 전세계 IT 시장을 뒤흔들어 놓을 메가톤급 뉴스 임에 틀림없다. 아마도 애플이 아이폰을 선보인 것에 버금가는 이슈가 되지 않을까 싶다.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가장 잘 소화해내는 '구글폰'을 모토로라가 생산할 경우 그 파급력은 상상하기 힘들다. 다만 구글측은 "안드로이드를 오픈 플랫폼으로 운영하겠다는 전략은 변하지 않을..
8.15 포털 로고...Daum이 단연 돋보였다 8.15 광복절을 맞아 주요 포털사들이 광복의 의미를 되새기는 로고를 선보였다. 그런데 대부분의 로고가 태극기와 독도를 등장시킨 천편일률적인 틀을 벗어나지 못했다. 네이버는 국기봉에 게양된 태극기가 펄럭이는 플래시를 선보였는데 가장 심플했다. 다음과 네이트 역시 독도 이미지를 추가했을 뿐 네이버와 거의 흡사했다. 하지만 비슷함 속에서도 daum의 기획력은 돋보였다. 태극기와 함께 독도와 땅끝마을, 독립기념관의 이미지가 차례대로 나타났는데 이를 클릭하면 daum 지도로 연결되도록 했다. '광복절 로드뷰 나들이'라는 타이틀을 달고 독도와 땅끝마을, 독립기념관을 방문할 수 있도록 유도한 것이다. 특히 독도의 경우 동쪽 땅끝표석과 한반도 바위 등 독도 곳곳의 주요 지점을 마치 눈으로 직접 보는 것 처럼 로드뷰로..
블로그에 Google+ 서클 추가 위젯을 달아보자 구글플러스(google+) 의 성장 속도가 가파르다. 베타 테스트를 시작한지 시작 3주만에 가입자가 2천만명을 돌파했다는 소식이다. 초대를 받아야만 가입이 가능한 상태임을 감안할 때 매우 의미있는 수치다. 베타테스트를 끝내고 G-mail 이용자들의 계정과 연동시킬 경우 순식간에 가입자가 수억명이 된다. 구글로서는 구글 버즈의 참담한 실패가 약이 된 듯 하다. (Google+의 전반적인 내용이 궁금하신 분은 이 글을 추천해드립니다. 바로가기 ) 구플의 킬러 콘텐츠는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아마 '서클'이 아닐까 싶다. 개념은 트위터나 페이스북의 리스트와 비슷하다. 팔로워나 친구가 늘어나면 관리가 안되기 때문에 특정한 리스트를 만들어 그룹별로 묶어두는 것인데 구플의 경우 이 과정이 매우 직관적이다. 그냥 드래그..
넥서스S 출시가 기대되는 이유...NFC 활용에 주목 삼성전자와 구글이 합작해 만든 넥서스S 국내 출시가 임박했다. 넥서스S의 경우 삼성의 이전 모델인 갤럭시S 와 비교하면 객관적인 하드웨어 스텍은 다소 떨어진다. 넥서스S는 갤럭시S와 달리 외장메모리를 지원하지 않고 블루투스도 3.0이 아닌 2.1 버전이다. 게다가 DMB를 지원하지 않고 무게도 129g으로 8g이나 무겁다. 크기도 123.9 × 63 × 10.9mm 로 갤럭시 S (122.4 × 64.2 × 9.9mm) 보다 두껍고 크다. 하지만 세계 최초로 안드로이드의 새 버전 (2.3) 진저브레드를 탑재했다는 점에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안드로이드 폰의 경우 고사양이라 하더라도 멀티터치 반응이나 각종 퍼포먼스가 iOS4 보다 매끄럽지 못했던 것 이 사실이었는데 진저브레드에서는 거의 비슷한 느낌의 애니..